본문 바로가기
세상 이야기

"살아있는데 '별세했다'...연예인 대상 가짜 부고 뉴스의 폐해"

by myvv77 2025. 5. 16.
반응형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살아있는 연예인들의 부고 소식을 사실인 것처럼 전하는 가짜뉴스가 확산되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허위 정보는 당사자와 가족들에게 정신적 피해를 뿐만 아니라, 팬들과 대중에게도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국내 연예인 대상 가짜 부고 뉴스 확산

구독자 1 3천여 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이 배우 이순재, 백일섭, 선우용여, 스포츠 스타 김연아 국내 유명 인물들의 사망설을 사실인 것처럼 전달하는 영상을 다수 게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이틀 올라온 영상에는 배우 이순재 씨가 아흔 살의 나이로 별세했다는 제목과 함께 자택에서 가족들과 마지막을 함께했다는 식의 허위 정보가 마치 사실처럼 서술되어 있었습니다. 해당 채널은 자신을 연예계 핫이슈와 무대 비밀을 전하는 콘텐츠 채널이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실제 업로드된 콘텐츠는 대부분 사실과 무관한 가짜뉴스였습니다.

반응형

해외에서도 빈번한 유명인 사망 가짜뉴스

이러한 현상은 국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해외에서도 유명 인사들의 가짜 사망 소식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위키피디아에 따르면, 21세기에 들어 인터넷을 통해 유명인의 사망 관련 가짜뉴스가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지만, 이는 새로운 현상이 아닙니다. 1945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의 사망 이후에도 찰리 채플린과 프랭크 시나트라 당시 유명 인사들의 가짜 사망 소식이 퍼진 있습니다.

 

최근에는 테이(Lil Tay) 조시 사이터(Josh Seiter) 여러 유명인들이 자신들이 사망했다는 인터넷 소식에 대해 직접 해명해야 하는 상황까지 발생했습니다. 2023 8월에는 래퍼 테이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해킹되어 그녀와 그녀의 오빠가 사망했다는 허위 성명이 게시되기도 했습니다.

320x100

가짜 부고 뉴스의 위험성

이러한 가짜 부고 뉴스는 단순한 장난이 아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 당사자와 가족의 정신적 피해: 살아있는 사람의 사망 소식은 본인과 가족에게 정신적 충격과 스트레스를 줍니다.
  • 팬들과 대중의 혼란: 좋아하는 연예인의 갑작스러운 부고 소식은 팬들에게 충격과 슬픔을 안겨줍니다.
  • 신뢰성 하락: 이러한 가짜뉴스가 계속되면 실제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게 됩니다.
  • 악성 소프트웨어 위험: 일부 가짜 부고 뉴스는 악성 소프트웨어 설치나 개인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합니다. 2016 브래드 피트의 가짜 사망 소식은 페이스북 사용자들을 악성 웹사이트로 유도하기도 했습니다.

대응 방안

가짜 부고 뉴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정보 확인: 충격적인 뉴스를 접했을 때는 여러 신뢰할 있는 출처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신고 활성화: 가짜뉴스를 발견했을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문화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해당 유튜브 채널의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가짜뉴스에 분노하며 신고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 플랫폼의 책임: 유튜브, 페이스북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가짜뉴스 필터링과 제재를 강화해야 합니다.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살아있는 연예인의 부고를 전하는 가짜뉴스는 단순한 장난이 아닌, 심각한 사회적 문제입니다. 이러한 가짜뉴스는 당사자와 가족, 팬들에게 정신적 피해를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과 불신을 초래합니다. 모든 이용자가 정보의 진위를 확인하고, 책임 있는 정보 공유 문화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